회전근개 파열은 보통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합니다.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퇴행성 변화에 따라 자연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흔하지만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외상으로 인한 파열도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을 유발하는 요인은 퇴행성 변화, 선천적 이상 및 발육 부전, 회전근개의 혈액 순환 장애, 어깨의 지나친 사용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회전근개파열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구분 | 회전근개파열 | 오십견 |
---|---|---|
능동운동 | 능동운동 제한 | 능동운동 제한 |
수동운동 | 수동운동 가능 | 수동운동 제한 |
통증 유발자세 | 팔을 위로 들 때 심화 | 팔을 돌리거나 올릴 때 심화 |
근력약화 | 근력약화 동반 가능성 O | 근력약화 동반가능성 X |
리스트는 자가 진단을 위한 참고용이며, 회전근개파열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를 통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복적인 노동이나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회전근개 손상은 인대강화 주사치료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환자의 연령이나 상태에 상관 없이 손상 된 부위에 직접 약물을 주사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치료시간이 짧고 빠르게 회복 됩니다.
인대나 힘줄의 손상을 원래 상태에 가깝게 회복시키고 강화시키는 치료를 증식치료라고 부르며 이러한 효과를 내는 약물은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통증을 줄이기 위한 주사제가 아닌 안전하고 효과적인 고농도의 포도당을 사용한 프롤로테라피를 통해 약화된 조직을 강화시키는 손상된 인대를 두껍고 강하게 만들어주는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